풍수 용어 해설
찾는 방법
1. 가나다 순으로 정리 되어 있습니다
2. 브라우져 상단 편집에서 이페이지에서 찾기 를 누르면 찾기 창이 뜹니다
간룡(幹龍): 식물의 대궁과 같이 큰 산에서 산맥이 혈을 향해 뻗어 내린 산줄기의 중심 용맥 을 말 한다.용(龍)이란산줄기를 가리키며 일어섰다. 엎드렸다 하는 산줄기를 용이 꿈틀거리며 달려가는 모습으로 본 것이다.
간룡법(看龍法);길룡과 흉룡을 구분 하는 방법으로 풍수의 형기론 에서 산세의 모양 세를 가지고 형세와 혈의 길흉을 살피는 방법이다. 생기발란하고 힘차게 꿈틀거려야 좋은 용으로 친다.
간산(看山); 생기가 모인 양택 터나 묘터 혈을 찾으러 산으로 오르거나 기존 터를 감결하기위해 현장을 답사하는 것을 말한다. 장엄한 자연과 인간의 상호교감을 위해 산에 오르는 등산과 비슷하며 현장에서 공부를 함으로 풍수에 큰 도움이 될 수있다하겠다.
감결(監訣); 터로 정하려 하거나 이미 정해진 터의 용(龍) 혈(穴) 사(砂) 수(水)가 풍수이론에 맞추어 길(吉)한지 흉(凶)한지를 세심하게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개장(開帳); 장막을 연다는 뜻으로 산줄기가 마치 새가 날개를 편 듯이 혹은 병풍을 펼친 듯이 좌우로 겹겹이 뻗어 내린 형세를 가리킨다. 개장이 좋으면 내룡의 생기가 건강한 것으로 본다.
개혈(開穴); 천광과 같은 말이다 혈을 연다는 뜻으로 보통은 시신을 안장하기위해 땅을 파는 행위를 가리킨다. 개혈하면 땅 속으로 바람이 들어가 생기가 흩어진다.
거문수(巨文水); 이기론에서 각 국의 쇠방(衰方)에서 물이 흘러들어 혈 앞에 이르는 것을 말한다. 즉 쇠방수(衰方水)이다.
거수(去水); 물이 빠져 나가는 것을 말한다. 일명 소수(消水)라고도 한다.
겁살(劫殺); 내룡이 개장 천심 속기하지 못하고 찌르고 깎이고 살기를 띠고 있는 사나운 룡을말한다.
격정(格定); 내룡의 분수령(分水嶺)이 어느 방위에서 오고 또 물의 파(파)는 어느 방위로 빠졌는가를 패철을 이용해 재는 행위를 말한다.
견동토우(牽動土牛); 한마디로 어거지 풍수이다. 용혈사수향기 (龍穴砂水向氣)가 정법에 맞지 안해도 맞는 것처럼 주위에 모든 사물을 끄러다 붙여 합리화 하려는 풍수를 말한다.
결인(結姻); 과협과 같은 것으로 속기의 일종이지만 혈처 가까이 있는 내룡의 기운이 혈 앞에서 뭉쳐 톡 튀어 나오기 직전의 낮은 곳을 가리킨다. 쉽게 목이라 부른다.
겸혈(鉗穴); 우각혈 이라고도 하며 형기론 에서 혈장의 모양을 가리키는 용어로 와혈(窩穴)처럼 전체적인 생김새가 가운데 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음혈 (陰穴)이다. 일명 개각혈(開脚穴) 이라 한다. 두개의 지각(지각)이 다리를 벌리고 다리 사이에 혈장을 밭쳐든 형상이지만 끝이꼭 안으로 굽어야하며 순전(脣氈)이 없는 것은 합곡(合谷)으로 주위 해야 한다.
경대(鏡臺); 큰 산의 바깥에 둥근 봉우리가 머리를 내밀고 거울 모양을 한 것. 여자가 귀하게 되고 궁비(宮妃)가 된다.
경락(經絡); 경맥(經脈)과 락맥(絡脈)으로 나뉘어 지며 사람의 몸에 거미줄처럼 엉켜저 기(氣)가 순행하는 통로이다. 보통 침을 놓는 자리로 경맥의 기가 흘러 다니는 주요통로고 낙맥은 경맥을 상호 연결시키는 통로이다. 풍수에서는 간룡(幹龍)과 지룡(枝龍)의 관계로 설명한다.
고궤사(庫櫃砂); 산의 모양이 장방형의 토산(土山)같은 것을 말하며 풍수는 곡식을 가득히 쌓아놓은 산이라 하여 부자가 난다고 한다.
고단용두(孤單龍頭); 주위에 같은 크기의 산이 없이 홀로 우뚝 솟은 산을 말한다.
고삽(高揷); 높은산이 뽀족함을 말한다.일명 문필봉의 모양
공혈(供穴); 혈을 향하여 조읍 하는 산을 말한다.
과교(過交); 때가 지나버린 것을 말한다. 서리는 8~9월에 와야 곡식이 잘 익는데 10~11월에 와 곡식이 제때에 결실을 맺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기론 상으로 물이 제 방위를 지나서 소수하니 자연이 올바로 순환되지 못한 상태이다.
과산(過山); 내룡을 타고 흐르는 생기가 멈추거나 응결되지 못한 채 그냥 흘러가는 산을 말한다.
과협(過峽); 산과 산을 잊는 산줄기 부분에 벌의 허리와 학의 무릎처럼 잘록한 부분을 가리키며 보통 무슨무슨 고개라고 부르는 곳이다. 과협은 산과 산 사이의 생기를 이어주며 과협이 좋아야 내룡의 생기가 충만하다고 본다. 과일의 꼭지와 같은 역할을 한다.
관대(冠帶); 12포태법상에서 성년을 향해 자라나는 길한 상태이다. 사람의 일생 가운데 글도 배우고 문장도 익히는 청소년기에 해당한다.
관정맥(串頂脈); 룡과 현무가 곧게와서 혈를 맺는 것을 말한다.
관쇄(關鎖); 청룡과 백호가 좌우에서 서로 끝 부분을 맞잡거나 한쪽이 다른 쪽을 감싸않아 물이 빠지는 곳이 좁아진 상태를 말한다. 배 한 척이 지나가지 못할 정도로 관쇄가 되면 매우 길하다고 본다.
관사유형(官砂類形); 안산의 앞뒤에 있는 관사의 유형은 날카로운 창, 깎는 칼, 서 있는 봉우리, 금수가 누워 있는 것과 같이, 돌이 어지러이 퇴적되어 나성(羅星)과 같은 모양을 취한다. 어느 것도 혈장에서 보아 둥글고 아름다운 것을 좋다고 한다.
관성(官星); 관성은 벼슬할 인제가 나는 사(砂)로서 안산과 조산 뒤에있은 목성의 社로서 혈에서 보이면 명관(明官)이라 하고 혈뒤에 보이지 않는 사를 맘관(暗官)이라한다.
광도(光到); 일광이 到宮 함이니 입춘 때 日이 寅궁에 入 하지만 광도는 壬방이다.
광중(壙中); 시신을 묻는 구덩이를 가리키며, 보통은 무덤 속을 말한다.
괘방(掛榜); 넓고 긴 모양의 사격을 말한다.
괴혈(怪穴); (본 백이풍수지리 연구원 에서는 엘로드 로 생기가 응집된 혈를 찾는 방법이 개발되어 응용중 임으로 많은 관심 바랍니다.) 명당이 갖추어야 할 제반 자연 조건을 갖추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생기가 응결된 장소이다. 주로 돌로 이루어진 악산을 말하며 시신 한 구를 묻을 만한 흙이 있거나 깊은 산속에 물이 고인 늪이 있으면 그 위에 괴혈이 있다고 한다. 괴혈은 발복이 빠르고 강력하여 일부 풍수가는 괴혈만 찾는다.
교여불급(交如不及); 수구(水口)가 포태법상 묘방(墓方)까지 가지 못하니 열매가 제철이 되기 전에 익어버린 상태이다. 후손이 각종 질병에 시달리며 남자의 목숨이 짧아 과부가 한집안에 세 명꼴은 되고, 세월이 흐르면 먼저 셋째 아들이 다음은 둘째가 그 다음은 장남의 후손이 끓어진다.
구곡수(九曲水); 혈의 앞쪽에서 마치 뱀이 지나가듯 곡곡으로 굽어서 지나가는 모양 세이다. 돈이 남아돌고 의식이 풍부해진다. 일명 수성수(水星水)라고 한다.
구사(龜蛇); 거북이나 뱀과 같은 사로서 뱀은 거북을 보면 멈춘다하여 음양의 조화로 이루어진 山水가 모이면 혈를 찾으라는 말이다.
국(局); 혈을 둘러싼 자연 형세를 하나의 우주로 본 것이고, 혈은 그 우주의 중심에 해당한다.
군선주대(群仙주隊); 수려한 모든 봉우리, 수풀, 횟대가 중첩되어 마치 벌과 개미가 군집한 것과 같은 것. 삼천분대 팔백형화 부귀(三千粉黛 八百炯花 富貴)
귀룡(貴龍); 용맥이 겹겹으로 가지 치며 내려 뻗고 내룡이 웅장하면서 생동감 있게 꿈틀거리는 형상을 말한다.
귀인사(貴人砂); 신선의 모자처럼 생겨 기울거나 결함이 없는 산을 말한다.
규봉(窺峰); 일명 월견(越肩)이라하며, 청룡과 백호 건너편에서 혈을 향해 언뜻언뜻 넘겨다 보는 듯한 산으로 후손 중에 도둑질을 당하거나 소송 등으로 재물을 잃는다.
금국(金局); 음양 오행상 수구가 패철의 계측(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방, 즉 북동방에 있는 경우이다. 가을에 해당하고 색깔은 백색이다.
금궤(金匱); 고토대금(高土帶金)을 금궤로 한다.
금성(禽星); 수구 부분에 날짐승 모양의 바위들이 막고 선 것을 가리킨다. 금성이 수구을 막아서 있으면 문관(文官)이나 문인(文人)이난다.
금성수(金星水); 혈 앞쪽에 마치 요대를 허리에 찬 것처럼 둥글게 감싸 안으며 흐르는 물줄기를 말한다. 물로써 가장 귀하며, 부귀하고 세상에 존경을 받고 충효현랑(忠孝賢郞)하며 의(義)로운 인물과 호남아(好男兒)가 난다.
금상(金箱); 흙이 낮고 평평한 것 정사각형이고 평평하고 둥근 것을 요한다. 과각고현(科各高顯), 작록(爵祿)이 풍부하고 후함. 안산.
금장(錦帳); 수성횡활(水星橫濶),용부룡(龍富龍)되면 금장, 귀룡이 되면 괘방(掛榜)이 된다. 귀(貴), 안(案), 방출(傍出)한다.
금어대(金魚袋); 돈부(墩埠)가 길게 굽어진 것 하관(下關), 수구에 있음이 마땅하다. 정신(鼎臣), 만문주자(滿門朱紫).
금어수(金魚水); 물이 혈의 양쪽 골짜기에서 흘러나와 한곳에서 합쳐 흘러가는 것을 말한다.
기산(旗山); 목성, 화성이 연결 되는 것, 그 머리가 치솟고 다리를 올리는 것을 기산이라 한다. 4,5봉이 있어 높고 낮아 옆으로 늘어서 있는 것을 출진기(出陣旗)라 하고, 머리가 낮은 것을 항기(降旗), 산체(山體)가 부서진 것을 패기(敗旗)라 한다.
기맥(氣脈); 이고 그곳에서 각각70~90센티미터씩 떨어뜨려 좌측으로 생기맥(生氣脈), 사기맥(死氣脈)이며, 우측으론 왕기맥(旺氣脈)과 병기맥이다.
낙타(駱駝); 말과 닮았고 등에 봉우리가 있는 것 부귀 모두 완전. 수구사.
낙산(樂山); 내룡이 방향을 90도로 바꾸는 회룡입수(回龍入首)를 할 때에 내룡의 뒤쪽에서 내룡의 생기를 받쳐주는 산이다. 회룡입수 일 때에는 꼭 낙산이 있어야한다.
납골당(納骨堂); 시체를 화장하여 그 유골을 모셔두는 장소 보통 뼈만을 추려서 모시거나 뼛가루를 그릇에 담아 안치한다.
내당(內堂); 혈장을 감싸는 국(局)을 가리키며, 이기론 상 자연의 흐름을 파악하기위해 자주 사용한다.
내룡(來龍); 혈로 내려오는 산줄기로 생기를 품고 있다, 입수가 있기 전까지의 산줄기를 말한다.
내반정침(內盤正針); 일명 지반정침(地盤正針)이라부르며 패철 4층을 가리킨다. 음택론에서 내룡의 이기를 격정하고 양택론에서 주택의 방향까지 격정한다.
다비(茶毘); 스님이 입적하면 뜰에 장작을 쌓아놓고 그 위에 시신을 얹어 불태우는 화장의 일종이다, 불가(佛家)에서는 더러운 육체를 불로 깨끗이 태워 영혼이 다시 태어나도록 도와 준다고 본다.
단농(單壟); 토형의 산으로 둔덕을 말한다.
단한(單寒); 전후좌우 에 보호받을 중사(衆砂)가 전혀없는 고독한 용의 표현이다.
단산(斷山); 산줄기가 이어 지지 않고 도로나 공사등으로 끊어진 산을 말한다. 생기가 이어지지 않아 흉하다.
단청룡(單靑龍); 좌우로 산이 뻗지 않고 오로지 한줄기 산이 그대로 뻗은 것이다.
대공망(大空亡); 패철5층의 천산 72룡 (穿山七十二龍)을 보면 중간에 빈 칸이 있는데 이 칸이 대공망이다. 이 칸으로 들어오는 내룡과 맥을 쓰지 않고 중국에서는 정(正) 자가 표시되어있다.
대궁진호(大窮盡虎); 산맥이나 백호가 세잔하여 끊기어 있는 것을 말한다.
도선국사(道詵國師, 827~898) 전남 영암에서 출생했으며 호가 옥룡자(玉龍子)이다. 고려왕건(王建)의 탄생과 고려 건국을 예언했으며 중국의 일행선사(一行禪師)에게서 풍수지리학을 배웠다. 한국풍수지학의 시조(始祖)이다.
도선비기(道詵秘記); 도선 국사가 저술한 책으로 고려의 정치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조선으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어왔다.
도시혈(逃屍穴); 시신을 매장한 이후에 땅속이 움직여 묘 봉분 밑에 시신이 있지 않고 도망가거나 곽이 뒤집혀 있는 곳을 말한다. 주위에 오래된 나무를 자세히 관찰하여 도시혈인지 판단 한다 흉지이다.
도안(道眼); 풍수가가 산천지형을 보는 실력을 나타내는 말로 법에만 의존하지 않고 얼핏 산을 보면 대세를 짐작하고 대세를 보면 진룡(眞龍)를 발견하고 그 중에서 생기가 응집된 혈을 바로 찾아내는 수준이다.
도참설(圖讖說); 이인(異人)이나 선지자(先知者)들이 미래의 길흉을 예언한 책이나 수문 따위를 가리킨다.
도화수(桃花水); 목욕수(沐浴峀)라하며 이기론상 각 국의 목욕 방에서 흘러들어온 물이다. 도화소가 혈 앞으로 흘러들면 여자들이 음란하고 강물에 투신하여 자살하는 일이 생기고 꾐에 빠져 재물을 잃는다고 한다.
독산(獨山); 산줄기가 이어지지 않고 홀로 떨어져 솟은 산이거나, 주위에 대치하는 산이 낮고 적은데 홀로 크게 우뚝 솟은 산으로 자웅이 맞지 않는다. 세살 어린애와 어른이 결혼 할수 없는 이치다.
독양(獨陽); 자연은 음양이 조화를 이루어야 생명이 탄생하는데 산세에 비해 물과 바람의 기운이 지나치게 강한 곳을 말한다. 보통 바닷가나 저수지 혹은 강물을 바라보고 쓴 묘를 말하며 홀아비가 사는 것과 같다.
독음(獨陰); 지연은 음 양이 조화를 이루어야 생명이 탄생하는데 물과 바람에 비해 산세의 기운이 지나치게 강한 곳을 가리킨다. 보통 깊은 산속에 있는 묘을 말하며 과부가 혼자 사는 것과 같다.
돌혈(突穴); 형기론에서 혈장의 모양이 돌출된 상태이다. 돌혈은 평지에도 나타나는데 논이나 밭에 유별나게 도드라진 곳이 돌혈이다.
동기감응론(同氣感應論); 뼈를 구성하는 원소는 생채 에너지와 독특한 진동 파장을 가지는데 시신의 유골이 산화될 때 발하는 전자파장이 동일한 기를 가진 후손과 서로 감응을 가리킴을 말한다.
동산(童山); 돌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초목이 자라지 않는 산이다.
두뇌(頭腦); 일명만두(巒頭) 혹은 순금(乘金)이라하며 무덤의 뒤쪽 중앙를 가리킨다. 보통은 무덤을 감싼 성벽(城壁)의 중심이며 위치가 가장 높다.
둔군(屯軍); 작은 언덕, 토강(土岡), 돌 등의 잡다한 것과 국외 평야와 큰 산 사이에 있어 둔군과 같은 것, 대장. 절제.
득수(得水); 물를 얻는 것이다. 처룡 백호 안산 주산 근처에서 혈이나 혈앞의 小 中 大 명당으로 모여드는 물를 득수라 한다.
득수론(得水論); 이기론의 다른 표현으로 물을 중시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이기론은 물 자체보다는 물이 흘러들고 흘러나가는 방위를 중시하는데 이는 물의 양기(陽氣)가 음기(陰氣)인 땅을 변화 시키는 주체이기 때문이다.
마상귀(馬上貴); 천마봉과 귀인봉이 함께 있는산을 말한다 과거에 급제하여(十年燈下苦 三日馬頭榮)
만두형세(巒頭形勢); 기묘하게 흐르고 솟구친 산천의 형세를 말한다.
맥(脈); 산 혹은 산줄기를 말하며, 생기 에너지가 흘러가는 통로이다.
명당(明堂); 혈을 포함한 주변의 평평한 땅으로 생기가 응결된 지점이다. 즉 혈이나 혈장 보다는 좀더 넓은 개념으로 쓰인다. 명당은, 소명당, 중명당, 대명당으로 나누며 천자가 천하의 문안을 받는 것처럼 혈이 산수의 문안을 받는 곳이며 여기에 내 명당은 발복의 지속을 관장하고 외 명당은 발복의 대소를 관장한다 하여 외 명당엔 萬馬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할 만큼 넓어야 길격이다.
명당수(明堂水); 산이 흘러내려온 방향과 반데 방향으로 물이 흐르는 것이며 일명 역수(逆水)라고 한다. 즉 혈을 향해 몰려오는 물길이다.
명사(明師); 풍수가 중에서 학문과 인격이 최고의 경지에 오른 사람을 일컫는다.
목국(木局); 음양오행상 수구가 패철의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 방 즉남서방에 있는 경우이다. 범에 해당하고 색깔은 청색이다.
목산(木山); 형태가 삼각형을 이루나 정상이 모나지 않고 평평한 산이다. 형기론에서 목산은 덕성 관운이나 발전에 관여하는 산으로 여긴다.
목성수(木星水); 혈 앞을 고르고 곱게 흘러가는 물의 형상을 말한다. 성품이 강한 자손이 대대로 이어진다.
목욕(沐浴); 12포태법상에서 태어나 보니 지저분한 것도 있는 유아기를 말한다. 음난함을 뜻한다
목욕룡(沐浴龍); 물이 가득찬 내룡으로 무덤에는 잔디대신 억새풀이나 물풀이 가득 들어찬다. 수국은 건해룡(乾亥龍) 목국은 간인룡(艮寅龍) 금국은 곤신룡(坤申龍) 화국은 손사룡(損巳龍)이 목욕룡에 해당한다. 형기론에서 명당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 산천형세를 가졌다.
묘(墓); 장(葬), 고(庫)라고도 하며, 12포태법상에서 모등활동이 중지되고 다시 자연으로 돌아간 상태이다.
묘택휴수(墓宅休囚); 구묘를 파간곳에 또 묘를 쓰면 흉하다 하는 말이다.
문필사(文筆砂); 붓과 같이 뾰족한 산으로 후손중에 문장가가 태어난다.
물풀(물풀); 무덤에 물이 들었을 경우 봉분의 표면에 생기는 이끼를 말한다. 습한 곳 이거나 목욕룡 이거나 얕은 수맥이 지나가는 곳이다.
박환(剝換); 암석이 물과 바람에 의해 기계적 풍화가 되거나 화학적 풍화 등으로 흙으로 변해가는 것을 가리킨다. 박환이 잘된 내룡 이어야 생기가 왕성한 것으로 본다.
반궁수(反弓水); 물이 둥글게 흐를 경우그 바깥쪽을 말한다. 즉 물이 직접 흘러드는 곳으로 땅속은 물이 가득 차고, 이런곳에 마을이 들어서면 집집마다 패절 한다.
반역룡(反逆龍); 내룡의 용호가 앞으로 휘어 순종하지 못하고 역으로 휘여 배역한 용으로 역적이 난다 하여 흉의로 본다.
배합(配合); 내룡이 뻗어온 방향을 패철로 격정할 때 내룡의 중심선이 간지의 중심선상에 놓인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내룡의 중심선이 임(壬)자와 자(子)자사이에 놓이면 배합되었다고 말한다.
배합룡(配合龍); 三字배합용(임자계) 과 二字 배합룡(임자) 으로 구분 하는데 삼자 배합은 범위가 넓어 구분이 어렵고 二字의 천간 과 지지 중심으로 용맥의분수령 (分水嶺)이 있으면 배합룡으로 생기가 있다고 판단한다.
백두대간(白頭大榦); 국토를 산줄기와 물줄기를 근간으로 질서와 체계를 가지고 해석한 한국 고유의 지리 사상이다.
백보전란(百步轉欄); 향의135미터 앞에서 물이 전방으로 곧게 빠지지말고 굽어서 빠지는 물길이 더 이상 보이지 않아야한다.
백호(白虎); 혈의 우측으로 뻗어내려 혈을 감싸는 산줄기로 혈의 생기를 보호하고 바람을 막아준다. 하는 단계이다.
법안(法眼); 내룡이 뻗어온 산세를 일일이 짚어보고 용맥의 꿈틀거림의 정도와 방위를 풍수 이론에 맞추어서 혈을 잡는 수준이다.
병(病); 12포태법상에서 기운이 쇠하여 병이든 것으로 젊은날의 기상은 없어지고 죽을 날만 기다리니 흉하다.
병기맥(病氣脈); 내룡을 다섯 구획으로 구분할 때 우측의 두 번째 구획을 말한다. 중심은 쇠
보필(輔弼); 좌우의 보필하는 사격(砂格) 또는 구성의 좌보 우필사를 말한다.
복두(幞頭); 복두는 사람의 머리에 덮은 것, 군(君)에 면한 자가 아니면 감히 얹을 수 없다. 이 산이 혈(穴) 앞에 있으면 왕후(王侯), 열사, 극품세형작록(極品世亨爵祿).
복응천(卜應天); 당나라 때의 유명한 풍수가로 풍수 경전의 설심부(雪心賦)를 지었다.
복호(伏虎); 호랑이가 엎드려 있는 모양의 산을 복호형 이라한다.
봉요학슬(蜂腰鶴膝); 과협의 형태가 벌의 허리처럼 잘록하고 학의 무릎처럼 매듭진 것을 제일로 친다.
봉련(鳳輦); 봉련의 모양을 이루는 것. 상격귀사. 안산.
봉침분금(縫針分金); 패철9층을 말하며 시신이 생기를 받을수 있도록 마지막으로 시신의 좌향을 잡는데 사용한다.
부(釜); 솥을 엎어놓은듯한 모양의 산 둥근 金산의 모양으로 부자가 나는 길격이다.
부룡(富龍); 용맥이 웅장하면서 살이 찐 듯 통통하고 곁가지를 겹겹으로 뻗어 생기가 왕성한 내룡이다.
부모(父母); 주산을 기리킨다. 형기론은 주산에서 혈까지 이어지는 내룡의 모양새, 즉 부모=
태(胎)=식(息)=잉(孕)=육(育)의 첫 번째이다.
부운(浮雲); 목성이 연이어 일어나고, 그 형태가 엉성해 발양의 기운이 있는 것을 부운이라 한다.
불배합(不配合); 내룡이 뻗어온 방향을 패철로 격정 할 때 내룡의 중심선이 간지(干支)의 중심선상에 놓이지 않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내룡의 중심선이 해(亥)와 임(壬), 혹은 자(子)와계(癸)자 사이에 놓이면 불 배합으로 잠룡(潛龍)이라 한다.
비기(秘記); 이인(異人)이나 선지자(先知者)들이 장래의 길흉을 예언한 기록들이다.
빈룡(賓龍); 용맥이 곁가지가 없이 밋밋하게 뻗은 모양이다.
비보풍수(裨補風水); 비보방살(裨補防殺)이라 하여 우리의 전통적인 지리 사상이다. 즉 국토가 허하고 병이 들면 그곳에 절을 짓거나 탑을 세웠고 바람을 막기 위해 방풍림을 심었다.
사(砂); 혈을 에워싼 주변의 산봉우리를 가리킨다. 사신사(四神砂)라 하면 현무(玄武), 주작(朱雀), 청룡 백호이다.
사기맥(死氣脈); 내룡을 다섯 구획으로 구분할 때 좌측의 두 번째 구획을 말한다.
사경오행(四俓五行); 金木水火土 오행중 風水에서는 중궁토는 쓰여지지 않는다. 고로 오행중 토를 제한 木火金水 四行만을 쓰여짐을 사경오행이라 한다.
사루하전(辭樓下殿); 용맥이 산줄기의 중심으로 뻗어 나오되 일어서고 엎드리며 겹겹으로 곁가지를 펼치며 전진하는 형세이다.
사리(舍利); 다비를 한 후에 스님의 유골에서 추린 녹두 알만한 영롱한 구슬들 도를 닦는 과정에서 스님의 몸에 응결된 정수(精髓)로서 영혼이 깃든 것으로 본다.
사모사(紗帽砂); 산의 모양이 토성(土木星)으로 관운이 있다고 본다.조정에서 쓰는 모자와 모양이 비슷한 산이다.
사신사(四神砂); 터를 중심으로 청룡 백호 안산 주산 즉 座 右 前 後 의 산을 말한다.
사유팔간(四維八干); 패철24방위 중에서 천간(天干)을 구성하는 요소들로 건(乾) 곤(坤) 간(艮) 손(巽)은 사유(四維)이고 임(壬) 계(癸) 갑(甲) 을(乙) 병(丙) 정(丁) 경(庚) 신(辛)은 팔간(八干)이다. 이것은 하늘의 기운으로 양(陽)이고 태양이고 남자이고 변화를 일으키는 주체에 해당한다.
사장(使長); 귀함중에서도 가장귀함을 말한다.
산경표(山經表); 신경준(申景濬)이 옛 지도에 나타난 산맥을 문헌으로 정리한 책이다. 전국의 산맥을 하나의 대간(大幹),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규정하고 여기에서 다시 가지처럼 뻗은 기맥까지 족보 책을 엮듯이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살(殺); 사람이나 만물 등을 해치는 독한기운 독 이나 악과 같은 것이다.
삼길육수(三吉六秀); 터에서 9층 패철6층으로 그방위에 고운산이 있으면 길하다는 것이다 삼길방은 진경해(震(卯)庚亥) 육수방 艮丙巽辛兌丁 방인대 丙丁峰은 마주봄이 제격이다.
삼합오행(三合五行); 세개가 서로 합하면 큰힘을 내는오행이다 간병신 인오술(火) 곤임을 신자진(水) 손경계 사유축(金) 건갑정 해묘미(木) 이기론 의 12포테법 에서 각국의 생(生) 왕(旺) 묘(墓)가 서로 조화를 이룬 상태를 말하며 이것이 원관통규 (元關通竅)의 묘법이다.
삼재(三才); 천(天), 지(地), 인(人)을 말하며 풍수에서는 천문 지리 그리고 사람에 관한 모든 것이 조화를 이루도록 터와 시간을 잡는 것을 말한다. 풍수가를 삼재를 터득한 사람이라 부르기도 한다.
삼정혈(三停穴); 혈처의 위치를 말한 것이다 상정 중정 하정 천 인 지혈로도 부른다 즉 용맥의 끝자락에서 맨끝의혈은 하정혈 또는지혈 위에는 중정혈 더 위에있는 혈은 상정혈이라 부르며 삼정혈를 벗어나는 과룡은 묘를쓰지 못하는 용이다.
삽천(揷天); 산의 형상이 하늘을 찌르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한다.
상극(相剋); 자연아 수 → 화 → 금 → 목 → 토로 역행하여 모든 생명체가 멸망하는 것이다. 문명의 산물들은 모두 상극의 원리에 따라 발명되어 사람의 삶에 도움을 준다. 즉 물로 불을 끄고 불로 쇠를 녹여 철물을 만들고 쇠로 나무를 자르고 나무로 흙을 파내어 사람에게 이롭게 이용한다.
상부(相符); 청룡과 백호가 혈장을 가운데 두고 나란히 뻗은 것을 가리킨다. 후손간의 우애가 없고 다툼이 잦다고 본다.
상생(相生); 자연이 봄 → 여름 → 가을 → 겨울로 순환하듯이 오행도 목 → 화 → 토 → 금수로 순행하는 것을 말한다. 상생의 원리는 나무로 불을 만들고 불이 타면 흙(재)이 되고 흙에서 쇠를 캐고, 쇠가 녹의면 물이 되는 이치이다.
생기(生氣); 우주와 자연을 변화시키고 천지 만물을 창조하고 생육하는 빛, 산소, 물, 영양분, 온도, 등이 복합된 기운이가. 자연의 상태에선 흙 상태에선 흙 속에 머문다.
생기맥(生氣脈); 내룡을 다섯 구역으로 구분할 때 좌측의 첫 번째 구획을 말한다.
생토(生土); 산의 표면을 덮고 있는 흙을 걷어내면 돌도 흙도 아닌 상태가 나오는데 보기에는 돌 같으나 만지면 흙처럼 곱게 바스러진다. 바로 생기가 응집되거나 흘러가는 통로로 홍황자윤 (紅黃滋潤) 해야한다.
석숭(石崇); 중국의 전설적인 부자의 이름이다.
석산(石山); 박환이 덜 이루어져 아직 토질이 암석이나 돌로된 산이다. 생기를 품지 못한 산이다.
선교(仙橋); 수성의 양 모서리가 불(火)을 다스리는 것. 신선을 관장한다. 수구사(水口砂).
산강료란(山岡療亂); 룡이 질서없이 흩어저 생기없는 흉룡을 말한다.
선선(詵詵); 아주 많다는 뜻이다.
선익(蟬翼); 입수 지점부터 좌우로 뻗어 혈장을 감싸는 부분인데 그 모양이 매미의 날개를 닮았다고 해서 생긴 말이다. 좌측의 선익을 백호 선익이라 부른다. 형기론에선 진혈임을 입증하는 증거로 삼아 선익이 있어야 명당이라 한다.
선인(仙人); 목성대화(木星帶火)를 선인이라 한다. 그 나부낌이 유사하다.
선저수(선渚水); 일명 진응수(眞應水)라 부르며 본래부터 혈장 앞에 넘치듯이 고여 있는 샘이나 연못을 가리킨다. 산세가 극히 왕성한 증거이며 맑고 수려하다면 재복(財福)이 크다고 한다.
소수(消水); 물이 빠져 나가는 것을 가리킨다.
소조산(小祖山); 생기 에너지를 응결 시키는 입수가 있기직전에 생기가 집합된 산으로 주산(主山) 혹은 현무라 부른다.
쇠(衰); 12포테법상에서 노년기에 접어든 시기이다. 비록 기운은 쇠 하였으나 쌓인 경륜이 있어 후학을 지도하는 상태이다.
쇠기맥(衰氣脈); 내룡의 다섯 구획 중에서 중앙에 위치한다. 생기가 흐르지 않는 통로이나 보통의 묘들은 대개가 쇠기맥에 안장되어 잘못되었다.
수국(水局); 음양 오행상 수구가 패철의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 방즉 동남방에 있는 경우이다. 겨울에 해당하고 색깔은 흙색이다.
수구(水口); 혈에서 보아 물이 최종적으로 빠지는 지점을 가리킨다.
수두(首頭); 산의 형상이 머리를 숙인 것과 같은 모양을 말한다.
수맥파(水脈波); 수맥이 흙 또는 암반에 부딪칠 때 빌생하는 일종의 에너지 파장이다.
수성(獸星); 수구 부분에 짐승의 모양을 한 바위들이 막고 선 것을 가리킨다. 수성이 수구을 막아서 있으면 무관(武官)이난다.
수성수(水星水); 혈의 앞 쪽에서 마치 뱀이 지나가듯 곡곡으로 굽어서 지나가는 모양새이다. 돈이 남아 돌고 의식이 풍부해진다. 일명 구곡수(九曲水)라 한다.
시호(諡號); 왕이 선비가 죽은 뒤에 망자의 공덕을 칭송하여 추증(追贈)하는 칭호 일본에서는 절에서 시호를 지어 받는데 67만 엔이 든다고 한다.
신안(神眼); 신령한 힘으로 멀리서도 생기가 응집된 혈을 정확히 잡아내는 풍수가의 실력이다.
신전불후(神前佛後); 신을 모신 사당이나 절(사찰) 뒤에는 묘를 쓰면 발복하지 못한다
십이운성(十二運星); 십이포태(十二胞胎)라 부르며 생명체나 우주가 생성되어 멸망해가는 순환의 법칙아다. 자연이 춘.하.추. 동으로 순환하는 것처럼 사람역시 태어나고 자라고 왕성해지고 쇠해져서, 병들고, 죽어가는 과정을 12운성으로 정하였다. 용(龍) 혈(穴) 사(砂) 수(水) 향(向)의 이기까지 12운성을 이용해 체계적으로 설명한 만고불변의 법칙이다.
쌍천귀(雙天貴); 혈뒤의 두개의 목성채 산으로서 하늘을 찌르듯이 서있는 산을 말한다.
아미사(蛾眉砂); 안산(案山)의 모양이 나바의 눈썹 같은 모양을 말하며 여자 후손중에 왕비가 난다고 한다.
안대(案對); 전라도에서 무덤의 방향을 잡을때 안산이나 조산의 봉우리와 무덤의 방향을 일치 시키는 좌향 법이다.
안산(案山); 이것은 혈 앞에 낮게 엎드린 산으로 주인이 손님과 마주 앉은 책상과 같은 역할을 한다. 높으면 눈썹 정도고 낮으면 심장의 위치여야 좋다.
암장(暗葬); 남의 땅에 몰래 장사를 지내거나 남의 묘를 파내고 자기 조상의 시신을 묻는 경우를 말한다.
압혈(壓穴); 안산이나 조산이 혈보다 자나치게 높으면서 가까이 있으면 혈의 생기를 눌러 흉하다.
양(養); 12포태법상에서 생명을 다 이루어놓고 출생만 기다리는 상태이다. 기대에 부풀어 있다.
양기(陽氣); 자연을 변화 시키는 주체로 물과 바람을 가리킨다. 풍수 에서는 물과 바람을 같은 개념으로 본다.
양기론(陽基論);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마을이나 도읍지을 정하는 지표로 삼는 풍수의 이론이다.
양균송(楊筠松); 당나라 때 의풍수가로 호가 구빈(救貧)이다. 청낭서(靑囊序)〕와〔청낭오어(靑囊奧語)〕를 저술하여 이기론을 완성하였다.
양택론(陽宅論); 산 사람에게 보다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는 주거지를 결정하는 풍수의 이론이다.
양풍(陽風); 계곡에서 자연적으로 생기는 음풍(陰風)과 대비되는 바람으로 자연 상태에서 부는 바람이다.
양시혈(養屍穴); 백년이 가도 시신이 썩지 않고 손톱과 머리가 자란다는 냉혈이다.
역수(逆水); 물길이 혈을향해 들어오는 형상으로 풍수는 재물이 몰려온다고 해석하여 귀하게 본다.ꡐ 명당수ꡑ 라고도한다.
영청읍수(迎淸揖秀); 신선하고 맑고 아름다운 기운을 맞아 드리고 수려한 모든사를 당겨 쓴다는 말이다.
오동지(梧桐枝); 내룡이 개장 천심을 거듭하면 청룡 백호의 장단대소가 균형이 같은 본신룡을 말한다.
오성체(五星體); 모든산을 금 목 수 화 토 오행의 산으로 본다.
오성취강격(五星聚講格); 현인명사가 한자리에 모여 도덕을 의론하듯 금목수화토 형의 산이 한곳에 모여 있는곳를 말한다.
옥대(玉帶); 손방에 있는 관복 입을 때 허리에 두루는 띠처럼 생긴 산을 말한다.
옥인(玉印); 묘 주위에 있는 도장이나 옥쇠처럼 생긴 암반(큰 바위), 건물 등을 말한다.
옥병(玉屛); 수려하게 병풍처럼 두루고 있는 산
와우(臥牛); 토성의 변한 모양. 부가 후하다. 수구사.
와혈(窩穴); 형기론에서 혈장의 모양을 부르는 말로 일명 ꡐ소쿠리 명당ꡑ으로 불린다. 외형이 소쿠리나 쟁반처럼 오목하게 되어 있으며 혈장의 한쪽 부분이 다른 한쪽보다 길게 혈장을 감싸고 있다.
왕기맥(旺氣脈); 내룡의 다섯 구획 중에서 우측의 첫 번째에 위치한다.
외당(外堂); 혈장 밖의 자연을 감싼 국(局)을 가리키며 이기론상 자연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자주 사용한다.
외반봉침(外盤縫針); 패철 8층을 가리키며, 물의 득파와 향을 잡는데 사용한다.
요도(橈棹); 내룡의 좌우나 전후에 붙어서 내룡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지각(枝脚)이다.
요성(曜星); 용호의 끝부분에 혈을 바라보는 편이나 또 반대편을 바라보는 뿔처럼 생긴 사를 말한다.
요사유형(曜砂類形); 혈장의 옆에 있는 요사는 용호의 앞과 뒤에 있어서 칼, 쇠(쇠), 바늘, 송곳, 새부리와 같은 물건과 닮은 모양이다.
용(龍); 산줄기를 가리키며 일어섰다 엎드렸다하는 산줄기를 용이 꿈틀거리며 달려가는 모습으로 보는 것이다.
용거(龍車); 용두 혈을 향해 차를 끄는 모양과 같은 것 상격귀사(上格貴砂)가 된다. 안산.
용맥(龍脈); 생기를 품고 흘러가는 에너지 통로를 가리키며 보통은 산줄기나 산맥을 말한다.
용서봉각(龍棲鳳閣); 이것은 원래 왕이 거한다. 최고로 귀함. 공후(公侯)에 봉함 주자(朱紫)가 문에 가득하고 부귀가 정립되고 번성한다. 안산.
용상팔살(龍上八殺); 무덤 속으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가리키며 패철 1층에 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묘 중에서 진디를 심어도 뿌리를 내리지 못하거나 벌건 황토가 드러나면 용상 팔살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
용호첨두(龍虎尖頭); 청룡 이나 백호의 끝이 뽀족히면 혈를 정할수 없다.
우득우파(右得右破); 물이 우측에서 득수 하여 혈을 감싸않고 흐르지 못한 채 무정하게 우측으로 빠져 버리는 모습이다. 자연이 올바로 순환하지 못하는 흉지이다.
우단제격(右單提格); 백호사가 없이 우측에서 수가 백호를 대신해주어 국을 이룬 것을 말한다.
우선룡(右旋龍); 산이 물과 바람의 영향을 받아 우측에서 좌측으로 휘어진 모양새를 말한다. 좌선룡은 내룡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휘어진 모양이다.
원관통규(元關通窺); 원은 향을 말하고 관(관)은 용을 말하고 규(규)는 수를 말하는바 삼합이 맞아 통함을말하며 이기론의 근본 원칙이기도 하다.
원진수(元辰水); 본용을 따라 내려오는 내몸에서 나온 물이다.
월견(越肩); 일명 규봉(窺峰)이라 하며 청룡과 백호 건너편에서 혈을 향해 언뜻언뜻 넘겨다 보는 산으로 마치구경꾼이 담장을 넘어 방안을 들여다보는 형상이다.
월수(越水); 청룡과 백호의 중간으로 건너편의 들판이나 물길이 바라다 보이는 것으로 그곳으로 바람이 불어옴으로 매우 흉하다. 월수에 달빛이 비추어 그 반사 빛이 묘에 이르면 후손이 큰 재앙을 당한다고 한다.
유혈(乳穴); 혈장의 핵심인 혈심을 향해 봉긋하게 도드라진 형상이며 여자의 유방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유정무정(有情無情); 나를 대해주고 감싸주고 도와줌을 유정이라 하고 나를 배반하고 도망감을 무정이라 한다.
육(育); 내룡의 생기가 응집된 혈을 뜻하며 즉 부모 → 태(胎) → 식(息) → 잉(孕) → 육(育)의 마지막 단계이다.
육탈(肉脫); 시신을 땅에 묻으면 피와 살은 곧 썩어 흙으로 돌아가는 것을 가리킨다.
음택론(陰宅論); 죽은 사람의 기(氣)가 후손의 기와 감응하여 복이나 화를 미친다는 풍수설로 보통은 묘터를 잡거나 장사를 지내는 무덤 풍수를 기리 킨다.
음풍(陰風); 산세가 험준할 경우 깊은 골짜기에서 자연적으로 생기는 찬바람이다. 음풍은 혈 주변의 산들이나 입수 묘 앞쪽의 전순까지 손상시키거나 허약하게 만든다.
의돈(猗頓); 부하다는 뜻이다.
이기론(理氣論); 패철(나경)로 측정한 수구(水口)의 방향으로 혈의 국(局)을 정한다음 국에 따라 내룡과 수구의 이기를 격정해 좌향을 잡는 풍수 이론이다. 자연 과학적인 접근으로 일명 득수론 좌향론 이라고 부른다.
인사(印砂); 장처럼 생긴 산이나 石 큰결정권 자가 난다.
인반중침(人盤中針); 패철6층을 가리키며, 혈 주변의 사봉들이 혈에 대해 도움을 주는지 혹은 해를 주는지를 감결한다.
인정(人丁); 풍수에서는 후손, 특히 대를 이을 남자 후손을 기리킨다.
인합사(印盒砂); 혈 주변에 도장처럼 생긴 바위를 보통 일컬으며 귀인사가 있으면 벼슬을 한다거나 혹은 옥쇄라 하여 임금이나 대통령이 태어난다고 해석 한다. 인주와 같이 붉은 색을 띠면 더욱 좋다고 한다.
일월(日月); 수구에 있는 둥근 돌 과 반달 모양의 돌
일월한문(日月捍門); 수구에 일월의 모양의 산이나 돌이 독립적으로 서서 꽉 막아줌을 말한다.
임관(臨官); 12포태법상에서 청년기에 해당하며, 장원으로 과거에 급제하고 결혼하는 시기이다. 젊은 기상이 한껏 부풀어 오른 상태이다.
입수(入首); 혈을 만들기 위해 최종적으로 생기 에너지를 응결시킨 곳을 말한다.
잉(孕); 식(息)을 지나 산줄기가 다시 살짝 솟아올라 하나의 정점을 이룬 곳 즉 부모 → 태
(胎) → 식(息) → 잉(孕) → 육(育)의 네 번째 단계이다.
자연황천(自然黃泉); 자연의 흐름이 거꾸로 순환하는 경우로 외당이 우선수인데 내당이 좌선수인 경우이다. 자연 황천에 걸린 내룡은 물이 차거나 바람이 침입하여 흉지가 된다.
작약지(芍藥枝); 내룡의 개장천심 하는 지각이 한편이 짧으면 한편이 길고 한편이 길면 한편이 짧은 지각을 말한다.
작뇌(作腦); 결혈하기 위한 현무에서 혈장까지 들어와 둥굴게 뭉친 곳이다.
장군(將軍); 목체(木體)이며 금을 띄고 있는 것이 장군이다. ^
잠룡(潛龍); 내룡이 뻗어온 방향을 패철로 격정할 때, 내룡의 중심선이 간지(干支)의 중심선상에 놓이지 않은 상태이다. 예를 들어 내룡의 중심선이 해(亥)와 임(壬), 혹은 자(子)와 계(癸) 자 사이에 놓여 불 배합된 상태이다.
장대(粧臺); 성봉(星峰)이 첩첩히 둘러싸서 장대의 모습을 이루는 것. 비빈을 낸다. 집안도 역시 여자에 의해 번성한다. 안산에 주로 있다.
장막(帳幕); 산세의 흐름이 마치 병풍을 펼쳐놓은 듯이 좌우로 겹겹으로 거지를 친 모양세이다.
장생(長生); 12포태법상에서 드디어 한 생명이 태어나는 것이다. 경사스럽고 기쁜 일이다.
장원기(壯元旂); 목성이 배열해서 수체(水體)를 이루고 발을 벌려서 아미를 낸다. 문명(文名)이 천하에 떨친다.
장풍법(欌風法); 혈의 생기가 흩어지지 않도록 주변의 산봉우리가 혈장을 감싸준 곳을 찾는 풍수의 술법이다.
장택법(葬擇法); 시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천문의 이기에 따른 매장의 일시, 고인과 후손들의 사주(사주)등 천문.지리. 인사가 서로 완벽한 조화를 이루도록 장사 지내는 절차나 과정이다.
전금(前衿); 옷이나 이불과 같은 것으로 가까운 안산을 말한다.
전락(轉落); 굴러 떯어진 용맥이다.
전순(氈脣); 혈장의 바로 앞에 맞닿아 있으면서 혈장의 생기를 보호하고 지탱해주는 역할을 담당해준다. 보통 암석으로 이루어져있다.
절(絶); 12포태법상에서 모든 형체가 절멸된 채 기조차도 쉬고 있다. 사람으로 말하면 아직 임신되지 않은 상태이다.
점병(鮎兵); 난석(亂石)이 평전(平田) 또는 평야에 있어 크고 작은 것이 하나되지 않는 것. 대장군 공명을 세우고 입신출세한다.
정혈(定穴); 생기가 응집된 곳을 정하는 방법으로 형기론 에서는 간룡법 장풍법 정혈법이 있고 이기론 에서는 득수법, 좌향법이 있다.
정혈법(定穴法); 형기론에서 혈을 정하는 방법으로 내룡에서 혈까지 내려온 산세의 모양이 부모 → 태(胎) → 식(息) → 잉(孕) → 육(育) 형태로 이루어져야하고, 혈장 주변의 산세는 입수, 선익, 전순, 토색들이 명당의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또 혈 자체의 모양도와, 겸, 유, 돌의 형상을 갖추어야 한다.
제왕(帝旺); 12포태법상에서 벼슬도 높아지고 재물도 많아지는 때이며, 인생의 최고 전성기이다.
제좌(帝座); 구름낀 산속에 수려한 한 봉우리가 우뚝 솟아 있고 양 어깨가 균평한 것 왕후(王侯)에 봉함. 자손이 작위를 받음, 후비(后妃)가 나옴. 남상공주(男尙公主). 주자(朱紫)가 맘문(滿門)하고 부귀가 바뀌지 않는다.
조산(朝山); 혈 앞쪽의 안산 너머로 높고 웅장하게 서 있는 산으로 보통 주작이라 한다. 모양은 마치 새가 날개를 펼치고 날아가듯이 우아하고 수려한 것을 제일로 친다.
조정동(趙廷棟); 생몰년 미상의 풍수가로 지리오결(地理五訣)을 저술하였다. 용, 혈, 사, 수에 향법까지 추가하여 오결이라 명명하였다.
족장(族葬); 한 내룡에 여러명의 조상을 위에서 아래쪽으로 나란히 모시는 장법(葬法)으로 조선시대에 와 생긴 매장풍습이다.
종(鍾); 목성체의 산으로 종을 엎어놓은 모양이다.
좌공조만(坐空朝滿); 평양지 용을 말한다 뒤가 허하고 앞이 안산 조산이 꽉차있는 모습이다.
좌득좌파(左得左破); 물이 좌측에서 득수하여 혈을 감싸않고 흐르지 못한 채 무정하게 좌측으로 빠져버리는 모습이다. 자연이 올바로 순환하지 못하는 흉지이다.
좌단제격(左單堤格); 청룡사가 없이 백호사로 국을 이루고 좌측에서 내수가 되여 혈장을 안고 돌아주는 수사가 청룡을 대신해주어 명당이 이루어 지는 것을 말한다.
좌선수(左旋水); 물의 흐름이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흘러 빠지는 경우를 말한다.
좌하저연(坐下低軟); 혈처 바로 밑에가 무너지고 저함하고 지세가 물으면 혈를 정할수 없다.
좌향(坐向); 좌는 시신의 머리 방향이고, 향은 발의 방향을 가리킨다.
좌향론(坐向論); 향법을 강조하는 이기론을 다르게 부르는 말이다.
좌회우포(左回右抱); 청용 백호가 청룡은 멀게 돌고 백호는 가깝게 안는다하는 뜻이다.
주산(主山); 혈을 맺게 해주는 혈 뒤쪽에 높게 솟은 산을 일컫는다. 마을이나 도읍지를 보는 양기론 풍수에서는 진산(鎭山)이라 부른다.
주작(朱雀); 혈의 앞쪽에 높게 솟은 안산을 가리키며 보통조산(朝山)과 같은 개념이다. 모양은 마치 새가 날개를 펼치고 날아가듯이 우아하고 수려한 것을 제일로 친다.
중조산(中祖散); 태조산 에서 뻗어 내린 산줄기가 혈 쪽으로 내려오면서 다음으로 웅장함을 갖춘 산이다. 국립공원이 들어선 명산은 대개가 중조 산에 해당한다.
지각(枝脚); 내룡의 몸채에 짧게 붙어 내룡이나 지룡의 몸체를 지탱하거나 내룡의 방향까지도 변화시킨다.
지관(地官); 음양과를 합격한 풍수가 중에서 왕족의 묘터를 집기위해 선별된 사람이다. 국상 때만 임명된 임시직이었으나 한번 지관으로 임명되면 당대 최고의 풍수가로 인정받아 퇴임후에도 그대로 벼슬 명을 붙여 불렀다.
지룡(枝龍); 내룡보다 적은 규모로 내룡을 따라 가지처럼 뻗어 내린 용이다. 일명 방룡(傍龍) 이라한다.
지반정침(地盤正針); 일명 내반정침(內盤正針)이라 부르며 패철4층을 가리킨다. 음택론에서 내룡의 이기를 격정하고, 양택론에서 주택의 방향까지 격정 한다.
지지(地支); 60갑자의아래 단위를 이루는 요소들로,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이다. 땅의 기운으로 음(陰)이고 달이고 여자여서 양의 기운을 받아 만물을 낳고 기르는 역할을 담당한다.
진응수(眞應水); 일명 선저수(漩渚水)라 부르며 본래부터 혈장 앞에 넘치듯이 고여 있는 샘이나 연못을 가리킨다. 산세가 극히 왕성한 증거이며 맑고 수려하다면 재복(財福)이 크다고 한다.
진혈(眞穴); 혈임이 증명된 혈을 말한다. 형기론은 매우 까다롭게 혈의 증명을 따지며 하나라도 결격 사유가 있으면 진혈이 아니라고 주자한다.
차고(借庫); 자생향과 자왕향의 경우에 용은 본국 예를 들면 수국의 용을 그대로 쓰데, 물은 본국이 아닌 타국의 수를 빌리는 것을 말한다. 즉 어떤 여자가 약혼을 했는데 갑자기 남자가 죽었을 경우 할 수없이 다른 남자를 택하여 결혼을 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창고(倉庫); 창고처럼 생긴 砂이다.
천기(千基); 많은 산이나 중첩한 집을 말한다.
천교(天橋); 금성이 연결 된 것을 천교라 한다.
천간(天干); 60갑자의 위 단위를 이루는 요소들로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이다. 이것은 하늘의 기운으로 양(陽)이고 태양이고 남자이고 변화를 일으키는 주체에 해당한다.
천광(穿壙); 시신을 묻을 무덤 자리를 판다. 개혈(開穴) 이라고도 한다.
천룡(賤龍); 내룡의 모양세가 꿈틀거림 없이 죽은 벌레처럼 밋밋하거나, 곁가지 없이 단신으로 흘러 뻗은 산세를 말한다.
천마(天馬); 금산이 연이어 지고 화산을 띄는 것이 천마인데, 양쪽 말이 척치(척치) 함을 피해야한다.
천마사(天馬砂); 하늘로 오르는 계단처럼 산봉우리가 연이어 높이 솟은 산을 가리키며 복을 빨리 가져온다고 한다. 특히 화국에서 오(午)자에 천마가 있으면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한다고 한다.
천심(穿心); 개장의 중심을 뚫고 흐르는 산줄기이다.
천심십도(天心十道);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네 개의 산을 선으로 그었을 때 그 십자의 중앙에 혈이 있다고 본다. 유명 사찰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천장지비(天藏地秘); 하늘이 감춰두고 땅이 비밀스럽게 숨겨준 곳이란 뜻으로 보통 명당을 말한다.
천제(天梯); 목성이 연이어 일어나고, 높고 낮음에 단계가 있는 것을 천제라 한다 천제성은 왕이날 터이다.
천창(天倉); 토석이며 정사각형인 것이 천창이다.
청룡(靑龍); 혈의 좌측으로 뻗어내려 혈을 감싸는 산줄기로 혈의 생기를 보호하고 바람을 막아준다.
청오자(靑烏子); 『청오경(靑烏經)』을 저술한 중국 한(漢) 나라 때의 풍수가이다. 그는 음양 술서에 정통해 풍수의 시조로 추앙 받으며 청오경은 음양과의 수험서로 채택된 풍수의 원전이다.
타태(墮胎); 산의 다리가 양쪽으로 열려서 흔부(掀埠)치마를 걷어 올린 모양 부귀가 있어도 자라지 못하고 후사가 없다.
탁산(托山); 외백호와 외청룡이 관쇄(關鎖)가 되도록 끝부분을 밀어 방향을 변화시켜주는 산이다. 혈장을 보호하고 기맥의 손실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태(胎); 12포태법상에서 생명의 기운은 받고 있으나 외부적으론 형태가 없는 상태이다.
태양태음(太陽太陰); 금성이 둥글고 결합이 없이 마치 해 모양을 이룰때 이를 태양이라 하며, 둥글고 결함이 있으며, 달의 형상을 이룰때 태음이라 한다.
태조산(太祖山); 혈의 발원이 되며 혈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서 위룡이 빼어난 산이다. 한국의 태조산은 백두산이다.
태을천을(太乙天乙); 주산이나 소조산 좌우에 비슷한 크기의 목성체의 산으로 하늘을 찌르듯 서있는 산을 말한다.
토피장(土皮葬); 일명 부장(浮葬)이라고도 한다. 용맥의 정기가 용맥의 혈토로 흐름이 정상이나 생기의 정맥이 노출되어 지면으로 흐르는 경우 관을 지상에 안치하고 부토하여 봉분을 만드는 장사법을 말한다.
파(破); 물이 빠지는 곳을 패철로 감결한 말이다. 천간 자로 빠지면 천간파(天干破)이고 지지자로 빠지면 지지파(地支破)이다.
판필(判筆); 卯방에 있는 수려한 산판서가 나는 砂이다.
팔요풍(八曜馮); 무덤 속으로 침입하는 바람을 말하며 패철 2층에 8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패철(佩鐵); 일명 나경(羅經)이라 하며 자연의 신비한 순환 원리가 층층이 남겨있어 단순히 동서남북의 방위만 보는 나침반과는 크게 다른 물건이다. 풍수가들이 시신의 분금을 보는데 사용하나 본래는 이기론 에서만 소용되는 물건이다.
표석(標石); 진혈을 증명하는 바위나 돌 등을 가리킨다. 명당에는 꼭 표석들이 있다.
표미(豹尾); 丙방에 있는 표범의 꼬리처럼 생긴 砂를 말한다.
풍수비연(風水悲軟); 바람소리나 물소리가 시끄럽게 슬피우는 소리 나는 곳에 혈를 정하면 흉사가 끊기지 않는다 폭포수 근처이다.
하수수(蝦須水); 개구리의 일종인 찰머구리 수염처럼 생긴 물의 모양이다 하나는 길고 하나는 짧다
학해안(學海案); 丙방의 안산을 말한다.
한문(捍門); 물이 나가는 파구를 꼭 막고 있는 모습이다.
한필(翰筆); 丙방에 있는 높고 수려한 산이다.
해안수(蟹眼水); 게 눈처럼 생긴 아주 작은 물로 산속의 옹달샘으로 시작되는 물을 말한다.
헌화(獻花); 양다리가 벌려저 중간에 구덩이를 연 것으로 여인을 음난 하게한다.
현무(玄武); 주산을 말하며, 거북처럼 원만한 산세로 혈을 향해 예를 표하듯이 고개를 숙인 것을 제일로 친다.
현무정(玄武頂); 현무가 이루어진 모양으로 이마처럼 생긴 것을 말한다.
혈(穴); 생기가 응집된 명당 중에서 생기 에너지가 최대한도로 응집된 지점을 말한다. 혈장(穴場)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혈상오악(穴上五嶽); 입수 선익 당판 순 전을 말한다.
혈의사상(穴의四象); 와 경 유 돌 형의 혈를 말한다 모든 혈은 이 사상을 벗어나면 가 혈이다.
협산(峽山); 야산(野山)을 말한다.
형국론(形局論); 물형론(物形論)을 가리키며, 산천형세를 사람과 동물 등의 형상에 빗대어 당(당)의 이름을 정한 뒤에 혈을 정하는 풍수 술법으로 전통 풍수 이론은 아니다.
형기론(形氣論); 산세의 모양이나 형세상의 아름다움을 유추하여 생기가 응결된 혈을 찾는 풍수이론이다.
호순신(胡舜申); 『지리신법(地理新法)』을 저술한 중국 명나라 때의 풍수가이다. 현재 이기론의 토대가 되는 오행의 생왕사절을 완성하였다.
홍황자윤(紅黃滋潤); 진혈의 흙 색깔은 붉고 노란 빚이 붉게 감돌아야 좋다.
화국(火局); 음양오행상 수구가 패철의 신술(辛戌), 건해(乾亥), 임자(壬子) 방 즉 서북방에 있는 경우이다. 여름에 해당하고 색깔은 적색이다.
화표(華表); 수구를 가로 막는 높은 산이다.
황천수(黃泉水); 파(破)를 뒤집어서 무덤의 좌향을 잡는 것으로 자연의 질서가 뒤집힌다.
횡룡입수(橫龍入首); 내룡이 진행 방향에서 90도를 회전하여 입수되는 경우이며, 이때는 반드시 혈장 뒤에서 혈장의 생기를 보호하는 낙산(樂山)이 있어야한다.
회도살(回到殺); 하관하는 순간을 보면 산 사람이 화를 당한다고 한다. 일부에서는 ꡐ호충ꡑ을 피하라고 한다.
회두극좌(回頭剋坐); 죽은 자의 생년(生年)이 중구(中宮)에서 갑자(甲子)를 일으켜 순행하며 도궁(到宮)되는 좌향을 놓지 않는 것을 뜻한다. 사람은 태어난 해에 따라 24방위 중에서 3방위가 흉하니 피해야한다.
회룡고조(廻龍顧祖); 소조 산을 떠나온 용맥이 개장 천심 속기 결인후에 머리를 돌려 소조산을 바라보는 형국이다. 효자가 나며 안산과 조산이 높아도 흉격 으로 보지 않는다.
횡금(橫琴); 평평한 산, 마치 거문고 를 옆에 놓은 것 과 같은 산 문장가가나고 명예 부귀 한다. 주로 안산에 있다.
흔군(掀裙); 한개의 산이 다리를 여러개 벌여 치마를 올린 모양을 이룬다. 부귀를 얻어도 남여 모두 음난하다.
명당의 유형
명당의 형에도 여러가지가 있어 일반 적으로 圓 方 橫 抱 平 廣 豊 進 周 靈 인것은 귀하다 하고 曲 直 欹 虛 野 散 偏 破 衝 纏 促 狹 泣 漏 劫 病 反 獄 怪 亂 한 것은 천하게 여겼으며 그 유형중 흉이 한둘 합치면 큰 해를 낮고 길한 것이 넷 다섯 합치면 부귀를 길게 하고 자손의 복과 경사가 면면에 끊임이 없을 것이다.
출처 인터넷, 작자미상
'신비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동신화 사전 (0) | 2009.05.31 |
---|---|
개운당 조사 이야기 (0) | 2009.05.15 |
티벳 사자의書 전문 (0) | 2009.04.15 |
토드의 에메랄드 타블렛 (1) | 2009.04.12 |
불교관련 사이트 링크, 전통종교 사이트 링크 (0) | 2009.04.03 |
지옥에 떨어진 영혼들 (0) | 2009.03.31 |
대종교의 교리 (0) | 2009.03.28 |
대황조 문답 (우학도인) (0) | 2009.03.26 |
화담 서경덕과 구미호 (0) | 2009.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