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말론
증평 말세우물 동영상
NOHISANNA
2009. 4. 4. 08:09
말세우물
소 재 지 - 충북 증평군 증평읍 사곡2리 사청마을
증평 마을 홈페이지 http://tour.jp.go.kr/
말세를 알리는 우물
증평시가지에서 충주 방면으로 1㎞ 쯤 가다 보면 미암교 앞에서 제방도로로 접어들어
사곡교에서 2㎞ 쯤 가다보면 증평읍 사곡2리 사청마을에 닿는다. 이 마을에는 한 우물이 남아 있는데,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설이 있다.
조선 제7대 왕인 세조(世祖 : 1455∼1468)가 조카인 단종을 폐하고 왕위를 빼앗은 후 계속되던 가뭄이
병자년(1456)여름에는 더욱 극성을 부려 사람이나 짐승들이 맥을 못추고 그늘을 찾아 다니는
어느 무더운 날이었다.
한 스님이 지금의 충청북도 사곡리 마을을 지나며 우물을 찾았다
더위에 먼 길을 오느라 갈증이 심한 모양이었다.
그러나 아무리 찾아도 스님의 눈엔 우물이 보이질 않았다.
하는 수 없이 스님은 어느 집 사립문을 밀고 들어섰다.
"주인 계십니까? 지나가는 객승 목이 말라 물 한 그릇 얻어 마실까 합니다."
"대청마루에 잠간 앉아 계세요. 곧 물을 길어 올리겠습니다."
주인 아낙은 길어다 놓은 물이 없다며 물동이를 이고 밖으로 나갔다.
스님은 아낙의 마음씀이 고마워 대청마루에 앉아 땀을 식히고 있었다.
그러나 물길러 간 아낙은 몇 시간이 지나도 오질 않았다.
이상하게 생각한 스님은 목마른 것도 바쁜 길도 잊은 채 호기심이 생겨 아낙이 돌아오길 기다렸다.
저녁 무렵, 아낙은 얼마나 걸음을 재촉했는지 숨을 몰아쉬며
한 손으로 구슬땀을 닦으면서 물동이를 이고 왔다.
"스님, 오래 기다리게 해서 죄송합니다." 아낙은 공손히 물을 떠 올렸다.
우선 시원한 물을 받아 마신 스님은 궁금증을 풀 양으로 아낙에게 물었다.
"거, 샘이 먼가 보군요."
"이 마을엔 샘이 없습니다. 여기서 10리쯤 가서 길어온 물입니다."
아낙의 수고를 치하한 스님은 무슨 생각에선지 짚고 온 지팡이로 마당을 세 번 두들겨 보았다.
"과연 이 마을은 물이 귀하겠구려. 마을 땅이 층층이 암반으로 덮였으니 원… 그러나 걱정마시오.
내 주인 아주머니의 은공에 보답키 위해 좋은 우물 하나를 선사하고 가리다 "
이 말을 남긴 스님은 그 집을 나와 마을 구석구석을 살폈다.
동네 한복판에 이른 스님은 큰 바위에 다가서서 역시 지팡이를 들어 세 번 두들기더니 고개를 끄덕였다.
그리곤 우물을 파다가 도승이 나타났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온 청년들에게 일렀다.
"이 바위를 파시오."
"스님, 여기는 바위가 아닙니까? 물이 나올 리 만무합니다."
청년들이 믿기 어렵다는 듯 말했으나 스님의 표정은 태연자약할 뿐아니라 엄숙하기까지 했다.
"자, 어서 여길 파시오. 겨울이면 더운물이 솟아날 것이고 여름이면 냉차 같은 시원한 물이 나올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아무리 가물어도 마르지 않고 장마져도 넘치지 않을 것이오."
청년들은 도승의 말에 위압당한 듯 어안이 벙벙하였다.
이때 한 청년이 앞으로 나서더니 스님의 말씀을 믿고 한번 파보자고 제의했다.
장정들이 밤낮으로 사흘을 파도 물줄기는 보이질 않았다. 스님은 계속 팔 것을 명했고,
청년들은 내친걸음이니 시키는 대로 해보자며 작업을 계속했다.
닷새쯤 팠을 때다. 바위 틈새에서 샘물이 솟기 시작했다.
맑고 깨끗한 물이 콸콸 흘러 금방 한길 우물 깊이를 채웠다.
청년들은 기쁨을 감출 수 없어 서로 부여안고 울며 춤을 췄다.
샘물이 솟는다는 소문에 온 마을이 뒤집혔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우물을 구경하러 모여들었고 물을 마시며 기뻐했다.
그들에겐 생명의 샘이나 다름없었다. 이 모습을 아무 표정없이 지켜보던 스님이 입을 열었다.
"자, 조용히 하고 소승의 말을 들으세요. 앞으로 이 우물은 넘치거나 줄어드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일 이 우물이 넘치는 날에는 나라에 큰 변이 있을 것입니다."
마을 사람들이 웅성거리며 쑥덕거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스님은 들은 체도 않고 말을 이었다.
"지난날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 임금을 폐하고 왕위에 올랐지만,
만약 이 우물이 넘치는 날에는 그보다 몇 배 더 큰 변란이 일어날 것입니다."
"스님, 이 우물이 그렇게 무서운 우물이면 차라리 지난날처럼 10리밖 개울물을 길어다 먹고 살겠습니다."
"너무 걱정들 마시오. 이 우물이 세 번 넘치는 날이면 이 세상은 말세가 되니까,
그때 여러분은 이 마을을 떠나시오."
이 말을 남긴 스님은 뒤도 돌아보지 않은 채 표연히 자취를 감췄다.
마을 사람들은 기쁨도 컸지만 한편으로 두려움도 없지 않았다. 이들은 모이기만 하면 비슷한 말을 주고 받았다.
"평생 숙원인 우물이 생기긴 했네만…."
"과연 기이한 일일세그려."
"그 도승의 말을 너무 염려할 것은 없을 것 같으이."
그러나 '우물이 세 번만 넘치면 말세가 온다'는 소문은 차츰 멀리 퍼져나갔다.
"과연 우물이 넘칠 것인가."
사람들의 입에서 화제가 되는 동안 세월은 어느덧 몇 년이 지났다.
그러던 어느 날 새벽, 물 길러 나간 아낙 하나가 우물가에서 기절을 했다.
우물이 철철 넘치고 있었던 거이었다. 이 말은 삽시간에이웃 마을까지 펴졌다.
사람들은 무슨 변이 일어날지 몰라 안절부절했다.
그로부터 며칠 후 왜구가 쳐들어왔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이 난이 곧 임진왜란이었다.
또 한번 이 우물이 넘친 것은 1950년 6월 25일. 그날도 이 우물은 새벽부터 철철 넘치고 있었다 한다.
6·25의 민족적 비극을 알리기 위한 우물의 충정이었다고 마을 사람들은 지금도 말하고 있다.
아무 일 없이 정량을 유지한 채 조용히 샘솟고 있는 이 우물이 과연 또 넘칠 것인가.
그리고 스님의 예언대로 세상의 종말이 올 것인가.
약 50호의 농가가 평화롭게 살고 있는 충북 괴산군 증평읍 사곡리 마을의 말세우물.
아무리 많이 퍼 써도, 또 아무리 가물어도 장마가 들어도 한결같이 줄지도 늘지도 않은 채
그 깊이 만큼의 정량을 유지하고 마을 사람들의 식수가 되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이 우물이 지닌 전설을 자랑으로 여기며 부처님 받들 듯 위한다고 한다.
1947년 음력 2월에는 우물 하부의 석축이 우그러들어 재공사를 했고,
1979년에는 우물을 시멘트로 바꿔 간이 상수도로 사용했으나 마을에 액운이 잦아 원상복구했다.
1995년 11월에는 2∼3일간 우물이 불어났다 줄었다 하기도 했고,
마을에서는 해마다 봄·가을 두 차례 물을 퍼내 청소를 하는 등 관리에 정성을 쏟고 있다.
1996년 5월, 마을 사람들은 유래비를 세우고 새로 정비해 우물이 세번째 넘치지 않기를 기원하고 있다
소 재 지 - 충북 증평군 증평읍 사곡2리 사청마을
증평 마을 홈페이지 http://tour.jp.go.kr/
말세를 알리는 우물
증평시가지에서 충주 방면으로 1㎞ 쯤 가다 보면 미암교 앞에서 제방도로로 접어들어
사곡교에서 2㎞ 쯤 가다보면 증평읍 사곡2리 사청마을에 닿는다. 이 마을에는 한 우물이 남아 있는데,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설이 있다.
조선 제7대 왕인 세조(世祖 : 1455∼1468)가 조카인 단종을 폐하고 왕위를 빼앗은 후 계속되던 가뭄이
병자년(1456)여름에는 더욱 극성을 부려 사람이나 짐승들이 맥을 못추고 그늘을 찾아 다니는
어느 무더운 날이었다.
한 스님이 지금의 충청북도 사곡리 마을을 지나며 우물을 찾았다
더위에 먼 길을 오느라 갈증이 심한 모양이었다.
그러나 아무리 찾아도 스님의 눈엔 우물이 보이질 않았다.
하는 수 없이 스님은 어느 집 사립문을 밀고 들어섰다.
"주인 계십니까? 지나가는 객승 목이 말라 물 한 그릇 얻어 마실까 합니다."
"대청마루에 잠간 앉아 계세요. 곧 물을 길어 올리겠습니다."
주인 아낙은 길어다 놓은 물이 없다며 물동이를 이고 밖으로 나갔다.
스님은 아낙의 마음씀이 고마워 대청마루에 앉아 땀을 식히고 있었다.
그러나 물길러 간 아낙은 몇 시간이 지나도 오질 않았다.
이상하게 생각한 스님은 목마른 것도 바쁜 길도 잊은 채 호기심이 생겨 아낙이 돌아오길 기다렸다.
저녁 무렵, 아낙은 얼마나 걸음을 재촉했는지 숨을 몰아쉬며
한 손으로 구슬땀을 닦으면서 물동이를 이고 왔다.
"스님, 오래 기다리게 해서 죄송합니다." 아낙은 공손히 물을 떠 올렸다.
우선 시원한 물을 받아 마신 스님은 궁금증을 풀 양으로 아낙에게 물었다.
"거, 샘이 먼가 보군요."
"이 마을엔 샘이 없습니다. 여기서 10리쯤 가서 길어온 물입니다."
아낙의 수고를 치하한 스님은 무슨 생각에선지 짚고 온 지팡이로 마당을 세 번 두들겨 보았다.
"과연 이 마을은 물이 귀하겠구려. 마을 땅이 층층이 암반으로 덮였으니 원… 그러나 걱정마시오.
내 주인 아주머니의 은공에 보답키 위해 좋은 우물 하나를 선사하고 가리다 "
이 말을 남긴 스님은 그 집을 나와 마을 구석구석을 살폈다.
동네 한복판에 이른 스님은 큰 바위에 다가서서 역시 지팡이를 들어 세 번 두들기더니 고개를 끄덕였다.
그리곤 우물을 파다가 도승이 나타났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온 청년들에게 일렀다.
"이 바위를 파시오."
"스님, 여기는 바위가 아닙니까? 물이 나올 리 만무합니다."
청년들이 믿기 어렵다는 듯 말했으나 스님의 표정은 태연자약할 뿐아니라 엄숙하기까지 했다.
"자, 어서 여길 파시오. 겨울이면 더운물이 솟아날 것이고 여름이면 냉차 같은 시원한 물이 나올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아무리 가물어도 마르지 않고 장마져도 넘치지 않을 것이오."
청년들은 도승의 말에 위압당한 듯 어안이 벙벙하였다.
이때 한 청년이 앞으로 나서더니 스님의 말씀을 믿고 한번 파보자고 제의했다.
장정들이 밤낮으로 사흘을 파도 물줄기는 보이질 않았다. 스님은 계속 팔 것을 명했고,
청년들은 내친걸음이니 시키는 대로 해보자며 작업을 계속했다.
닷새쯤 팠을 때다. 바위 틈새에서 샘물이 솟기 시작했다.
맑고 깨끗한 물이 콸콸 흘러 금방 한길 우물 깊이를 채웠다.
청년들은 기쁨을 감출 수 없어 서로 부여안고 울며 춤을 췄다.
샘물이 솟는다는 소문에 온 마을이 뒤집혔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우물을 구경하러 모여들었고 물을 마시며 기뻐했다.
그들에겐 생명의 샘이나 다름없었다. 이 모습을 아무 표정없이 지켜보던 스님이 입을 열었다.
"자, 조용히 하고 소승의 말을 들으세요. 앞으로 이 우물은 넘치거나 줄어드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일 이 우물이 넘치는 날에는 나라에 큰 변이 있을 것입니다."
마을 사람들이 웅성거리며 쑥덕거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스님은 들은 체도 않고 말을 이었다.
"지난날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 임금을 폐하고 왕위에 올랐지만,
만약 이 우물이 넘치는 날에는 그보다 몇 배 더 큰 변란이 일어날 것입니다."
"스님, 이 우물이 그렇게 무서운 우물이면 차라리 지난날처럼 10리밖 개울물을 길어다 먹고 살겠습니다."
"너무 걱정들 마시오. 이 우물이 세 번 넘치는 날이면 이 세상은 말세가 되니까,
그때 여러분은 이 마을을 떠나시오."
이 말을 남긴 스님은 뒤도 돌아보지 않은 채 표연히 자취를 감췄다.
마을 사람들은 기쁨도 컸지만 한편으로 두려움도 없지 않았다. 이들은 모이기만 하면 비슷한 말을 주고 받았다.
"평생 숙원인 우물이 생기긴 했네만…."
"과연 기이한 일일세그려."
"그 도승의 말을 너무 염려할 것은 없을 것 같으이."
그러나 '우물이 세 번만 넘치면 말세가 온다'는 소문은 차츰 멀리 퍼져나갔다.
"과연 우물이 넘칠 것인가."
사람들의 입에서 화제가 되는 동안 세월은 어느덧 몇 년이 지났다.
그러던 어느 날 새벽, 물 길러 나간 아낙 하나가 우물가에서 기절을 했다.
우물이 철철 넘치고 있었던 거이었다. 이 말은 삽시간에이웃 마을까지 펴졌다.
사람들은 무슨 변이 일어날지 몰라 안절부절했다.
그로부터 며칠 후 왜구가 쳐들어왔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이 난이 곧 임진왜란이었다.
또 한번 이 우물이 넘친 것은 1950년 6월 25일. 그날도 이 우물은 새벽부터 철철 넘치고 있었다 한다.
6·25의 민족적 비극을 알리기 위한 우물의 충정이었다고 마을 사람들은 지금도 말하고 있다.
아무 일 없이 정량을 유지한 채 조용히 샘솟고 있는 이 우물이 과연 또 넘칠 것인가.
그리고 스님의 예언대로 세상의 종말이 올 것인가.
약 50호의 농가가 평화롭게 살고 있는 충북 괴산군 증평읍 사곡리 마을의 말세우물.
아무리 많이 퍼 써도, 또 아무리 가물어도 장마가 들어도 한결같이 줄지도 늘지도 않은 채
그 깊이 만큼의 정량을 유지하고 마을 사람들의 식수가 되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이 우물이 지닌 전설을 자랑으로 여기며 부처님 받들 듯 위한다고 한다.
1947년 음력 2월에는 우물 하부의 석축이 우그러들어 재공사를 했고,
1979년에는 우물을 시멘트로 바꿔 간이 상수도로 사용했으나 마을에 액운이 잦아 원상복구했다.
1995년 11월에는 2∼3일간 우물이 불어났다 줄었다 하기도 했고,
마을에서는 해마다 봄·가을 두 차례 물을 퍼내 청소를 하는 등 관리에 정성을 쏟고 있다.
1996년 5월, 마을 사람들은 유래비를 세우고 새로 정비해 우물이 세번째 넘치지 않기를 기원하고 있다